사실 알고는 있지만 필요할때는 기억나지 않는 주의사항들!

계속 상기하면서 더 좋은 발표를 할 수 있도록 해야겠다.


[슬라이드 만들때 주의사항]

*대소문자 혼용 주의할것!

- 발표시 논문 제목은 대문자로 쓴다.

ex) Decoupling Cores, Kernels and Operating Systems

- 슬라이드 내용은 앞글자만 대문자로 나머지는 소문자로 쓴다.

ex) Trends in hardware and software

- 글자크기는 뒷사람을 고려하여 크게 

  적어도 18px이상으로 작성하는것이 적당한 것 같다.

-Title과 내용이 일치할 것



[발표시 주의사항]

- 발표시 듣는 사람과 슬라이드를 번갈아가며 발표를 해야한다.

 발표의 목적은 내용전달이기 때문에 청자가 이해했는지를 파악하며 설명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 논문을 쓴 목적이 잘 전달되어야 한다.

 어떤 문제가 있었고 -> 이 문제가 왜 문제인지에 대해 설명하고(Motivation) -> 이 방법을 해결하기위해 제시한 방법 -> 이 방법의 결과는 무엇이고 -> 이 결과가 미치는 영향(Evaluation)에 대한 흐름이 잘 전달되어야한다. (발표의 전반적인 시나리오가 이어져야한다.)

* 청자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문제를 확실하게 인식시키는것이 중요하다.

- 영어 발음을 주의 할것

- 슬라이드는 한번 앞으로 가면 설명을 한다고 뒤로 다시 가는 일은 없도록!

- 그림은 애니메이션을 통해 내용을 설명하는 것이 효과적

-처음 설명하는 용어나 약어가 나오면 반드시 설명을하고 지나가야 한다.

'Lab > Pap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KOOC] 학술 논문 작성법  (0) 2016.05.08
영어 논문 작성 요령  (0) 2016.02.22
논문 읽기/쓰기 기초  (0) 2015.03.12
Vector 이미지를 웹에서 그릴 수 있는 사이트  (0) 2015.02.12
[Mac] Latex 사용하기  (0) 2014.12.26

1. 논문을 읽을 것인지 결정하기까지 과정

- TITLE, allusion(인용)횟수를 보고 Downloading할것인지 단순히 Reading만 할 것인지 결정한다.

- 그 다음 Who published를 파악한뒤 

-Abstract를 읽고 Introduction을 읽는데 시간이 오래걸린다. ->(그럼 어떻게 해야 할까? 는 다음에)


2.  영어 논문을 쓸때 주의할 점

     Use Simple English!

어려운 단어나 복잡한 문장을 구성하는 것은 내용 이해도 어렵고, 전달도 잘 안된다.


3. 논문의 구성

논문은 Title, Author, Abstract, Introduction, Evaluation, Conclusion, Reference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있다.

Abstract, Reference... 와 다른 것들의 차이점은 각 Section 앞에 번호가 붙어 있는지의 여부이다.

-> 왜 그런거지?


'Lab > Pap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KOOC] 학술 논문 작성법  (0) 2016.05.08
영어 논문 작성 요령  (0) 2016.02.22
논문 발표시 주의사항  (0) 2015.03.12
Vector 이미지를 웹에서 그릴 수 있는 사이트  (0) 2015.02.12
[Mac] Latex 사용하기  (0) 2014.12.26

1. What is pintos?

우선 pintos는 80x86 아키텍처로 구성된 간단한 운영체제이다. 

스탠포드 대학에서 교육용으로 만들어졌으며 kernel thread(커널 스레드), loading and running user programs(유저 프로그램을 로딩하고 실행하것), file system(파일 시스템)을 지원하고 있다.

추가적으로 virtual memory (가상메모리)구현도 추가할 수 있다.


pintos는 기본적으로 IBM-compatible PC에서 실행되도록 구현되어있기 때문에 80x86 CPU에서 실행될 수 있다. 

만일 SPARC machine과 같은 다른 환경에서 실행 할 경우에는 "Cross-compiler" 툴을 사용하여 컴파일 해줘야 한다.


Pintos Project 공식 Document : http://web.stanford.edu/class/cs140/projects/pintos/pintos.html


2. Install Ubuntu

pintos를 실행하기 위해 Ubuntu 등 리눅스 환경을 설치한다.

나는 기본적으로 Ubuntu를 사용하지만 다른 OS환경의 사용자들은 VM을 이용해서 설치하면 된다.


*필수 유틸리티를 설치 해줘야 한다.

$ sudo apt-get install g++ xorg-dev ncurses-dev vim


3. Install Pintos

이제 본격적으로 pintos를 설치하는 작업을 한다.

3-1. pintos 코드 다운 및 압축풀기

$ wget http://www.stanford.edu/class/cs140/projects/pintos/pintos.tar.gz

$ tar xzf pintos.tar.gz

pintos 파일 압축을 해제하면 "pintos/src"파일이 생성되고, 그 안에 pintos 소스가 존재한다.


3-2. bashrc 환경설정 변경

$ vi ~/.bashrc 

맨 아래에 export PATH="$PATH:/home/usr/pintos/src/utils" 추가

(usr는 자신의 컴퓨터의 username을 적어주면 된다.)


$ source ~/.bashrc

(원래 .bashrc 파일을 수정하면 터미널을 껏다 켜야 하지만 이 명령어를 사용하면 바로 수정사항이 적용된다.)


4. Install Simulator


4-1.  Bochs 다운로드하기

pintos는 Bochs나 QEMU와 같은 simulator를 사용하여 실행한다.

Document에서는 Bochs를 이용해서 설명하기 때문에 Bochs를 사용한다.

Bochs 다운은 여기서 할 수 있다.

http://bochs.sourceforge.net 


bochs-2.6.7.tar.gz (이 버전에서는 gdb 컴파일이 안된다.)

 -> bochs-2.2.6.tar.gz로 사용!


4-2. pintos 내부 스크립트 이용해 bochs 설치하기

pintos/src/misc에서


ex) sudo env SRCDIR=/home/usr/Downlaods/ PINTOSDIR=/home/usr/pintos/ DSTDIR=/usr/local ./bochs-2.2.6-build.sh

 SRCDIR= 다운로드한 bochs tar.gz 파일이 있는 디렉토리

 PINTOSDIR= pintos 루트 디렉토리


* pwd 명령어를 이용해 디렉토리 경로 확인 가능


4-3 pintods-gdb 세팅

 $ vim pintos/src/utils/pintos-gdb

#Path to GDB macros file. 경로 수정!

GDBMACROS=/home/user/pinots/src/misc/gdb-macros


4-4. Test

핀토스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테스트를 한다.

$ cd pintos/src/threads

$ make    //build 디렉토리 생성 

$ cd build

$ pintos run alarm-multiple

+ Recent posts